목록분류 전체보기 (53)
수수께끼상자
비스트(BEAST) - 비가 오는 날엔 듣기/자동재생/반복재생/가사/파트별가사 ** 반복재생 : 영상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 후 '연속재생' 선택 (두준) 세상이 어두워지고 조용히 비가 내리면 여전히 그대로 (기광) 오늘도 어김없이 난 벗어나질 못하네 너의 생각 안에서 (요섭) 제 끝이라는 걸 알지만 미련이란 걸 알지만 이제 아닐 걸 알지만 (현승) 그까짓 자존심에 널 잡지 못했던 내가 조금 아쉬울 뿐 이니까 (요섭) 비가 오는 날엔 나를 찾아와 밤을 새워 괴롭히다 비가 그쳐가면 너도 따라서 서서히 조금씩 그쳐가겠지 (준형) 취했나 봐 그만 마셔야 될 것 같애 비가 떨어지니까 나도 떨어질 것 같애 뭐 네가 보고 싶다거나 그런 건 아냐 다만 우리가 가진 시간이 좀 날카로울 뿐 네가 참 좋아했었던 이런 날..
비스트(BEAST) - 불러보지만 듣기/자동재생/반복재생/가사 ** 반복재생 : 영상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 후 '연속재생' 선택 I already know what u gonna say I wanna keep it that way I don't ever wanna let u go 아무 말 하지 마 뒤로 돌아서지 마 네가 무슨 말할 지 나는 아니까 고개를 숙이고 넌 시계만 바라봐 가슴이 메여와 말이 없는 널 쳐다보면 불안해서 견딜 수 없어 자꾸만 네 이름을 불러보지만 대답이 없는 너 Why Why Why 줄어가는 통화와 말과 만남과 우리 시간들 Never cry 이렇게 보낼 순 없어 오직 너 My girl Tell me baby You're my girl Baby baby 떠나가지 마 널 잃고 싶지 않..
주니엘(JUNIEL) - illa illa 듣기/자동재생/반복재생/가사 ** 반복재생 : 영상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 후 '연속재생' 선택 따스하게 부는 향기로운 바람 내 두 볼에 스치면 난 사랑했던 그대 얼굴이 떠오르죠 oh 길가에 숨어선 이름도 모르는 들꽃이 필 때쯤엔 기억 저 편에 감춰 둔 그대가 떠오르죠 My baby illa illa illa baby illa illa illa baby illa illa illa Never forget love 첫사랑은 아름다워서 첫사랑은 꽃이랍니다 봄이 오면 활짝 피는 oh, 눈이 부신 꽃처럼 첫사랑은 어린애처럼 첫사랑은 서투릅니다 사랑을 아낌없이 주고 갖질 못하니까 illa illa illa, illa illa illa, illa illa illa 나의 사..
1. 보험 : 질병, 상해, 교통사고, 화재 등 각종 위험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줄여주는 것 2. 보험의 종류 - 인보험 : 질병, 상새, 사망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여주는 것. 주로 생명보험회사에서 취급한다. - 물보험 : 화재, 자동차 사고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여주는 것. 주로 화재보험회사에서 취급한다. - 소멸성 보험(=순수보장형 보험) : 고객이 낸 보험료가 소멸되기 때문에 나중에 돌려받지 못하는 보험 - 저축성 보험(=만기환급형 보험) : 나중에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보험 3. 용어 - 약관 : 계약에 따른 여러 가지 관례. 보험금을 언제 주는지, 언제 주지 않는지, 계약자의 의무 등이 적혀 있다. - 보험증권 : 보험에 가입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 계약자..
1. 금융정책 : 돈의 융통을 조절해서 경기를 개선하는 정책 2. 공개시장조작 : 한국은행이 공개시장에서 통화안정증권이나 환매조건부채권(RP)을 팔아서 통화량이나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 - 통화안정증권 : 통화량의 안정을 위해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증권 →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을 때는 통화안정증권을 은행에게 판다. 그 금액만큼 한국은행에 돈이 들어오고, 시중의 통화량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시중에 돈이 부족할 때는 통화안정증권을 은행으로부터 다시 사온다. 그 금액만큼 한국은행에서 돈이 빠져 나가고, 시중의 통화량이 증가하게 된다. - 환매조건부채권 : 일정한 기간이 지난 뒤에 다시 사들일 것을 약속하고 판매하는 채권 →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을 때 한국은행이 환매조건부채권을 팔면 시중의 돈이 줄어든다. 일..
1. 부도 : 대금 결제일에 수표나 어음을 은행에 제시할 때 당좌예금 계좌에 돈이 없어서 지급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 → 부도수표, 부도어음 2. 1차 부도 : 어음이 제시된 날 결제하지 못한 것. 다음 날까지 결제하면 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음 3. 최종부도 : 1차 부도 이후 그 다음 날에도 결제를 위한 돈이 입금되지 않았을 때. 해당 기업은 더 이상 수표나 어음을 발행하지 못함 → 당좌거래정지. 반복되면 은행이 부도낸 기업의 신용상태를 의심하고 모든 거래를 끊게 된다. 신용 회복 전까지 대출도 되지 않고, 어음 할인도 해주지 않는다. 4. 어음부도율 : 지급 기일이 된 어음 중에서 제대로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부도난 어음이 차지하는 비율 → 부도어음/어음교환액 - 어음부도율을 통해 시중의 자..
1. 금융상품 : 돈의 융통을 위해 파는 물건 - 금리가 하락할 것 같으면 장기상품에 투자할 것(장기 확정금리 상품) - 금리가 오를 것 같으면 단기상품에 투자할 것 - 금리가 어떻게 될지 모를 때는 일단 단기 상품에 돈을 맡겨 두고, 앞으로의 추이를 살피면서 투자 결정할 것 - 물가가 크게 상승 → 돈, 금융상품을 가지고 있으면 손해. 땅, 금, 골동품 같은 현물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함. 물가가 뛰면 은행에서도 물가만큼 금리를 올려주겠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물가가 뛰는 속도만큼 금리가 높아지지 않는다. - 물가가 크게 하락 → 현물을 가지고 있으면 손해. 돈과 금융상품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함. 2. 금융상품 분류 1) 입출금의 자유에 따라 - 수시입출금식 상품 : 언제든지 돈을 맡기고 찾을 수 있..
* 통화 vs. 화폐 통화 = 한국의 '원', 미국의 '달러' 등 각 나라에서 통용되는 것 화폐 = 통화 내에 100원, 500원, 1000원 등 1. 통화량 :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 2. 화폐의 기능 - 지급수단으로서의 기능 : 교환거래의 완결을 전제로 함 -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기능 : 경제주체의 소득 발생 시점과 소비 시점이 다를 때, 그 사이의 부 또는 교환가치가 보존되어야 한다. 가치저장기능을 갖지 못하면 지급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원활히 수행할 수 없다. - 회계단위로서의 기능 : 재화와 용역의 교환가치를 재는 척도 3. 화폐의 정의 1) 금융자유화 이후 새로운 금융상품이 대거 등장했고, 금융기관의 구분도 모호해짐에 따라 정의내리기 어려워짐 2) 선험적 정의 :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
1. 금리 : 돈의 가격. 이자가 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 예를 들어, 100만원을 빌리고 1년 뒤에 110만원을 갚기로 한 경우, 이자는 10만원이다. 이자 10만원이 원금 100만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 금리 - 시중에 돈이 부족하면 돈의 가치가 올라감 → 금리 상승 2. 콜금리 : 은행 간에 급전을 빌려줄 때 적용되는 금리 - 콜금리는 시중의 단기적인 자금사정을 잘 반영하는 지표 - 콜금리가 변하고 나면 중장기금리도 변함 3. 수신금리 : 은행에 예금할 때 적용되는 금리. 은행 입장에서는 돈을 받는 것이라서 ‘수신’금리라고 하는 것 4. 국고채수익률 - 국고채 : 국가가 발행하는 차용증서 - 10000원짜리 국고채를 사람들에게 8000원에 팔면서 나중에 10000원을 주겠다고 한다. 수요..
1. 신용 : 돈을 빌리거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능력 2. 여신 : 신용을 준다는 의미. 돈을 빌려주거나 보증을 서준다는 의미. 여신을 규제한다는 것은 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주거나 보증을 서주는 것을 규제한다는 것. 3. 신용경색 : 시중에 돈이 없거나, 시중에 돈은 많은데 흐르지 않는 상태. 전자는 돈을 찍으면 되지만, 후자는 문제가 된다. 흐르지 않고 쌓여있던 돈이 한 번에 시중에 나오면 물가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주로 경기가 나쁠 때 자주 쓰이는 용어이다. 4. 채권 : 받을 돈 - 부실채권 : 떼일 확률이 높은 돈 - 은행은 빌려준 돈에 등급을 부여한다. 정상적으로 이자를 내고 있는 돈을 제외한 나머지 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등급을 부여한다. * 요주의 : 1~3개월 동안 이자를 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