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수수께끼상자

1-3. 금리 본문

경제 & 금융

1-3. 금리

수수께끼상자 2017. 1. 1. 15:44

1. 금리 : 돈의 가격. 이자가 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 예를 들어, 100만원을 빌리고 1년 뒤에 110만원을 갚기로 한 경우, 이자는 10만원이다. 이자 10만원이 원금 100만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 금리

- 시중에 돈이 부족하면 돈의 가치가 올라감 금리 상승

 

2. 콜금리 : 은행 간에 급전을 빌려줄 때 적용되는 금리

- 콜금리는 시중의 단기적인 자금사정을 잘 반영하는 지표

- 콜금리가 변하고 나면 중장기금리도 변함

 

3. 수신금리 : 은행에 예금할 때 적용되는 금리. 은행 입장에서는 돈을 받는 것이라서 수신금리라고 하는 것

 

4. 국고채수익률

- 국고채 : 국가가 발행하는 차용증서

- 10000원짜리 국고채를 사람들에게 8000원에 팔면서 나중에 10000원을 주겠다고 한다. 수요자가 많으면 가격이 9000원으로 오르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9000원으로 사면 수익률이 11%, 7000원에 사면 수익률이 42%이다.

- 국채에는 외평채, 국고채 등을 비롯해 많은 종류가 있지만 3년짜리 국고채가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한다. 3년 만기 국고채의 수익률이 시중의 자금사정을 가장 잘 반영한다.

 

5. 금리 상승

- 투자 감소, 저축 증가, 소비 감소, 주가 하락

- 주식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많은 이자를 주는 은행으로 돈이 이동한다.

- 금리가 지나치게 높을 때 : 돈을 찍어 내거나, 한국은행이 일반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를 낮추게 된다.(저금리 정책)

 

6. 금리 하락

- 투자 증가, 저축 감소, 소비 증가, 주가 상승, 부동산 경기 좋음

-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가 낮아서 주식에 투자해서 이익을 보려고 함

- 주택자금의 대출 금리도 내려감 주택에 대한 수요 증가 부동산 경기 좋음

- 재고가 있기 때문에 물가가 아주 빠르게 오르지는 않음

- 금리가 낮으면 기업이 돈을 빌려 투자를 늘리게 되고, 자금의 수요가 많아져서 금리가 상승하게 된다. 그럼에도 금리가 계속 낮다는 것은 기업이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기업이 예상하는 경제 전망이 나쁘다는 것이다. 이때 정부는 도로 건설, 댐 건설 등을 통해 기업에 일거리를 준다. 정부가 투자를 늘리게 되면 기업은 정부의 의지를 믿고 투자를 늘리게 되고 결국 경기가 살아난다.(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7. 금리변동 원인

- 화폐() 수요가 증가 금리 상승

- 통화량이 줄어들 때 금리 상승(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이 부족하기 때문)

- 유동성이 작을수록 금리 높음

- 위험부담이 클수록 금리 높음

- 경기 좋을 때 높음(경기 좋으면 은행에서 돈을 빌려 투자하려고 함 금리 상승)

 

8. 적정금리

- 후진국의 금리가 높은 이유는 그만큼 돈을 벌 건수가 많아 이자를 많이 주고서라도 돈을 빌려 투자하려하기 때문이다.

- 선진국의 금리가 낮은 이유는 돈이 될 만한 건수가 없기 때문에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없기 때문이다.

- 한 나라에서 1년 동안 투자해서 올릴 수 있는 수익이 20%라면 평균적인 금리도 20%가 된다.

 

** 한국은행 기준금리

http://www.bok.or.kr/baserate/baserateList.action?menuNaviId=1927

 

'경제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부도  (0) 2017.01.02
1-5. 금융상품  (0) 2017.01.01
1-4. 통화 및 화폐  (0) 2017.01.01
1-2. 신용 / 여신 / 수신  (0) 2017.01.01
1-1. 금융  (0) 2016.12.30
Comments